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6

CamelCase vs snake_case, 언어마다 다른 명명 규칙 정리 “CamelCase vs snake_case, 언어마다 다른 명명 규칙 제대로 정리해드립니다”“개발자는 코드를 쓰는 사람인 동시에 읽는 사람이다. 그렇기에 명명 규칙은 코드의 ‘문체’가 된다.” 프로그래밍을 배우면서 가장 자주 하는 실수가 있다면 바로 이거다."변수명은 대충 알아볼 수 있게 지으면 되는 거 아니야?"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실무나 팀 프로젝트, 오픈소스 개발에 들어가면 이 대충이라는 게 혼란의 시작이 된다.왜 어떤 코드는 getUserInfo고, 어떤 코드는 get_user_info인지. 왜 어떤 언어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섞고, 또 어떤 언어는 밑줄(_)로만 단어를 구분하는지. 이번 글에서는 이 혼란을 확실하게 정리해보려 한다.CamelCase, snake_case, PascalCase.. 2025. 4. 16.
2025년, 개발자들이 선택한 프로그래밍 언어 TOP 10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워야 할까?” 이 질문은 2025년에도 여전히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이 오가는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기술은 빠르게 바뀌지만, 언어의 인기는 예상보다 더 천천히, 그러나 확실하게 변합니다.2025년의 프로그래밍 언어 트렌드는 단순히 “많이 쓰는 언어”를 넘어서, “왜” 그 언어가 각광받는지를 함께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그저 순위를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 언어가 어떤 배경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는지까지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1위 - Python: 데이터의 시대, 파이썬의 시대파이썬은 2025년에도 1위를 지키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많아서가 아니라, “할 수 있는 게 너무 많다”는 게 이유입니다. 웹 개발, 인공.. 2025. 4. 15.
챗GPT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변환, 지금 가장 핫한 AI 트렌드 따라하기 챗GPT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변환|지금 가장 핫한 AI 트렌드 따라하기“지브리 그림체로 나를 그려본다면 어떤 모습일까?”요즘 인스타, 틱톡에서 유행 중인 챗GPT 지브리 스타일 변환, 도대체 어떻게 하는 걸까?✨ 요즘 왜 다들 지브리 스타일로 프로필 사진을 바꾸는 걸까? 최근 SNS를 보다 보면,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로 바뀐 내 사진이 심심치 않게 보이죠.사람들은 자기 얼굴을 애니메이션 캐릭터처럼 그리는 걸 재미 삼아 하기도 하고, 감성적인 프로필 이미지로 활용하기도 해요.특히 '센과 치히로', '하울의 움직이는 성' 같은 지브리 영화의 따뜻하고 몽환적인 색감은 사람들의 감성을 저격하기 딱입니다.그 중심에는 바로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이 있어요.챗GPT를 통해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게.. 2025. 4. 2.
Next.js Next.js 소개 Next.js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현대적인 React 프레임워크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React로 구성되며, Next.js를 통해 성능 개선과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 Next.js는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React 프로젝트의 설정과 관리를 단순화하고, 이는 개발자가 설정보다는 실제 기능 개발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개발자의 경험 수준에 관계없이, Next.js는 빠르고 동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축을 용이하게 한다. Next.js의 기원 현재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널리 사용되는 React의 특징은 SPA 방식을 통한 사용자 경험의 향상이다. 그러나 React만으로는 초기 로딩 시간이 길고, 검색 엔진 최적화에 제약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 2024. 3. 27.
[Django] 24.02.27 Django CBV 실습 오늘은 CBV를 통한 게시물 리스트 CRUD 실습을 진행했다. 우선 django에서 urls.py에 들어갈 함수나 클래스 등은 views.py에서 정의한다. views.py를 만들때에는 FBV와 CBV 두가지 선택지가 존재하고 두가지 모두 같은 기능을 하는 View이며 차이는 로직을 클래스로 구현할 지 함수로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차이이다. 오늘의 실습은 CBV를 사용한 실습을 진행한 것이다. 클래스 기반 뷰(CBV, Class Based View) 클래스 기반 뷰(CBV)란 django가 제공하는 클래스를 활용해 구현하는 방법으로, 웹 개발 시 반복적으로 많이 구현하는 것들을 클래스로 미리 구현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django는 자주 쓰는 기능을 클래스로 미리 구현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클.. 2024. 2. 27.
[Django] 24.02.26 Django CRUD 실습 오늘은 Create, Read, Update, Delete에 대한 Django 실습을 진행했다. 즉 저장된 내역을 읽고,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고, 기존 데이터를 수정하고, 삭제하는 내용을 실습했다. 이전 내용을 이어서 admin 페이지에서 생성한 블로그 게시물을 사용하여 CRUD 기능을 구현할 것이다. 현재 BLOG > Posts 에는 3개의 게시물이 작성되어 있다. 우선 Models.py에 DB 내용을 가져오고 admin.py에 DB에 반영한 것을 admin 페이지에 반영했다. (각 .py 역할이 정확한 내용인지 잘 모르겠다. 추후 수정 예정하겠다.) # blog > models.py from django.db import models class Post(models.Model): title = mo.. 2024.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