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8 개체관계 다이어그램 구성 요소 [개체관계 다이어그램의 구성요소]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형은 개체집합을 나타내며 원과 마름모는 각각 속성과 관계집합을 나타낸다. 이들은 선으로 연결하여 관계를 나타낸다. 개체집합과 관계집합의 선에 나타난 화살표는 대응수를 나타낸다. 약성개체집합은 이중 사각형으로 나타내며, 약성 개체집합이 의존하는 강성 개체집합과의 관계도 이중 마름모로 표현한다. 파란색원은 기본키를 나타내며 약성 개체집합에서 회색 원으로 표시된 속성은 부분키이다. 테이블 종류1. student(stu_id, resident_id, name, address, year)2. department(dept_id, dept_name, office)3. course(course_id, title, credit)4. class(ye.. 2019. 12. 4.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데이터베이스 설계(database design)란 사용자의 요구사항(requirements)으로부터 현실세계를 반영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도출해 내는 과정을 말한다. 여러 필드로 구성된 테이블을 어떠한 물리적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는 요구사항분석으로부터 시작하여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단계로 진행된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1. 요구사항 분석 : DB를 활용하게 되는 업무 내용, 운영 환경, 처리 조건등을 분석하여 DB가 제공해야 하는 핵심 정보 대상 및 제한 조건을 도출 2. 개념적 설계 - 요구사항 분석에서 나온 분석 결과를 추상화된 표현 방식으로 기술하는 단계로 개념적 스키마를 생성한다. - 사용.. 2019. 12. 3. 무결성 1. 개념-DB에 저장된 데이터 값과 그것의 실제 값이 일치하는 정확성을 의미-무결성 제약조건이란 DB에 저장된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확하지 않은 데이터가 DB내에 저자오디는 것을 방지하는 제약조건. 2. 종류① 참조 무결성 : 외래키 값은 NULL이거나 참조릴레이션의 기본 키 값과 동일해야한다.② 개체 무결성 : 기본 릴레이션의 기본 키를 구성하는 어떤 속성도 NULL이여서는 안된다.③ 관계 무결성 : 어느 한 튜플의 삽입가능여부 또는 한 릴레이션과 다른 릴레이션의 튜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적절성 여부를 지정 ④ 도메인 무결성 : 특정 속성의 값이 그 속성이 정의된 도메인에 속한 값이어야한다.⑤ 키 무결성 : 하나의 릴레이션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가 존재해야한다.⑥ 고유 무결성 : 특정 속.. 2019. 3. 25. 키의 개념 및 종류 키키란 DB에서 만족하는 튜플을 찾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때 기준이 되는 속성. 1. 슈퍼키(Super Key) - 한 릴레이션내에 있는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튜플 중 슈퍼키로 구성된 속성의 집합과 동일한 값은 나타나지 않는다.- 슈퍼키는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튜플에 대해 유일성은 만족하지만 최소성은 만족하지 못한다. 2. 후보키(Candidate Key)-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들 중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성들의 부분집합.- 유일성과 최소성을 모두 만족. ※ 슈퍼키는 최소성과 관계없이 튜플을 유일하게 구분 할 수 있으면 되고 슈퍼키 중 유일성과 최소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 후보키가 된다. 3. 대체키(Alternate Key)- 후보키 중.. 2019. 3. 25. 관계형 데이터 모델 관계형 데이터 모델: 데이터를 테이블이나 릴레이션의 구조로 표현한 논리적 데이터 모델. 1. 관계형 데이터 구조릴레이션 - 데이터를 원자 값으로 갖는 2차원의 테이블로 표현.- 논리적 구조이므로 다양한 정결 기준을 통해 표현 가능.- 구조를 나타내는 릴레이션 스키마와 실제 값들인 릴레이션 인스턴스로 구성된다.- 열은 속성(Column), Attribute, 행은 Tuple, Row라고 한다.- 하나의 Attribute가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 값들의 집합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도메인은 실제 Attribute 값이 나타날 때 그 값의 합법여부를 시스템이 검사하는데에도 이용된다. * 속성의 수 = 차수* 튜플의 수 = 카디널리티 * NULL : 정보의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며 아무것도 없는 .. 2019. 3. 25. ER(Entity Relationship)모델 ER모델ER 모델은 개념적 데이터 모델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1976년 Peter Chen에 의해 제안되었다.ER 모델은 개체, 속성, 관계 등에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는 ER도형을 정의하고 있다. ER도형 종류1. 개체 타입 : 사각형 2. 관계 타입 : 마름모3. 속성 타입 : 타원4. 기본키 : 개체 타입에서 개체를 유일하게 식별해주는 속성5. 개체 타입 간의 연관성6. 개체 타입과 속성을 연결 : 선7. ISA 관계: 특정 개체는 서로 구별되는 여러 하위 개체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이란 개체는 ISA 관계로 재학생, 휴학생, 졸업생을 하위 개체로 나누었다고 한다면 한명의 학생은 재학생, 휴학생, 졸업생 중 하나에 해당되며 하위 개체는 상위 개체의 속성을 포함한다. 학생의 기본키가 학.. 2019. 3. 25. 이전 1 2 다음